전체 글 704

모래 위가 아닌, 바위에 새기듯

누가 그랬다.“글씨를 바위에 새기듯 살아라.”모래 위에 쓴 글씨는조그만 바람에도,작은 파도에도쉽게 지워진다.하지만 바위라면한 글자 새기기 위해수없이 깎고,시간과 정성을 쏟아야 한다.그렇게 새긴 글씨는쉽게 지워지지 않는다.오래도록 남는다.지금 걷는 길어제는 지쳤고,오늘은 버겁고,내일도 고될 것을 안다.그래도이 모든 과정모래가 아닌바위에 새기는 시간이길

카테고리 없음 2025.04.06

엔진은 최강인데… 방향이 틀렸다면? (feat 효율성, 효과성)

물속에서 죽어라 헤엄치는 오리.힘도 넘치고, 속도도 엄청납니다.그런데… 엉뚱한 방향이라면?많은 사람들이 효율성이라는 엔진에만 집착합니다.빠르게, 많이, 정확하게.그 자체로는 멋지지만, 성과와는 별개일 수 있습니다.반면, 효과성은 방향입니다.지금 내가 하는 일이 정말 의미 있는가?이 일이 결과로 이어지는가? 를 묻는 것이죠.효율성은 일을 잘하는 것.효과성은 옳은 일을 하는 것.아무리 좋은 엔진이라도길을 잘못 들면 도착지는 영원히 멀기만 합니다.오늘, 당신의 엔진은 어디로 달리고 있나요?  https://kc99.tistory.com/1561 효율성 vs 효과성p244 효율성 (efficiency) 투자한 노력과 결과의 비율로 계산되며 일을 얼마나 많이, 얼마나 빨리 할 수 있는지로 측정된다. 효율와 성과는..

카테고리 없음 2025.04.06

Posso provare – “내가 한번 해볼게!”

이탈리아 여행이나 회화를 준비할 때,짧지만 자주 쓰이는 표현 하나로 대화를 이어갈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오늘 소개할 표현은 바로 Posso provare 입니다.📌 Posso provare[뽀쏘 프로바레]의미: 내가 한번 해봐도 될까? / 내가 해봐도 돼?이 표현은 일상 회화에서 정말 자주 쓰입니다.예를 들어, 친구가 요리를 하고 있다면:“Posso provare?” – 나도 한번 해볼까?또는 누군가 뭔가를 시도하고 있는데 흥미가 생겼을 때도 쓸 수 있어요.예: 친구가 기타를 치고 있을 때→ “Posso provare?” – 나도 한번 쳐봐도 돼?🙌 짧고 간단하지만,이 표현 하나만 알아도 상대와 훨씬 더 자연스럽게 대화할 수 있어요.오늘부터 “Posso provare?” 한 마디로이탈리아어 대화..

이탈리아어 2025.04.06

이탈리아어로 ‘맞다’는 뭐라고 할까?

이탈리아어로 ‘맞다’는 뭐라고 할까?한국어로 “맞다”는 정말 자주 쓰이는 말이에요.정답일 때, 물리적으로 맞을 때, 혹은 어떤 일이 딱 들어맞을 때도 쓰이죠.그런데 이걸 이탈리아어로 옮기려고 하면…딱 한 단어로는 안 돼요! 상황마다 달라지거든요.예를 들어,정답일 때는 "giusto" [쥐우스토] 또는 "esatto" [에자또]물리적으로 맞다(때리다)는 "colpire" [꼴삐레]잘 어울린다, 들어맞는다 할 땐 "andare bene" [안다레 베네] 같은 표현을 써요.예문도 볼까요?“이거 정답이야?” → È giusto? [에 쥐우스토?]“그 말이 맞아.” → Hai ragione. [아이 라조네] (직역하면 “너 말이 맞아”)“그 옷 잘 어울린다!” → Ti sta bene! [티 스타 베네]이처럼 한..

이탈리아어 2025.04.04

프랑스 여행시 간단회화 – 여행 갈 때 이거 하나면 OK!

1. Bonjour ! (봉쥬르)안녕하세요 / 좋은 하루예요👋 아침부터 저녁까지 통하는 만능 인사!Tip: 상점 들어갈 때 꼭 인사해 주세요. 예의가 아주 중요해요! 2. Excusez-moi. (엑스뀌제-무아)실례합니다🙋 길을 묻거나 지나갈 때 꼭 필요한 표현.예의바른 시작은 좋은 대화를 만듭니다. 3. Combien ça coûte ? (꽁비엥 싸 꿋?)이거 얼마예요?💶 쇼핑할 땐 필수죠!꿋? 소리만 기억해도 가격 물어보는 건 문제없어요! 4. Où sont les toilettes ? (우 송 레 투알레뜨?)화장실 어디예요?🚻 급할 때 유용한 질문!이 말 한마디로 진짜 살 수 있어요. 5. C’est délicieux ! (쎄 들리씨우!)정말 맛있어요!🍷🍮 식당에서 이 말 한 마디면 감동..

카테고리 없음 2025.04.04

애자일 스토리포인팅

이 작업, 얼마나 빡세냐?”를 숫자로 말하는 법 스토리포인트란?애자일에서 쓰는 추상적 숫자입니다.시간이 아닌 ‘상대적 난이도와 복잡도’를 기준으로 산정하죠.예를 들어:로그인 기능: 3포인트소셜 로그인 연동: 5포인트신규 회원가입 페이지: 8포인트  프로젝트 매니저(PM)의 시선"예측 가능성이 생긴다!"팀의 평균 처리 속도(Velocity)가 보이면,👉 이번 스프린트에 어느 정도 일 할 수 있을지 예측 가능!팀원별 업무 할당이 아니라, 팀 전체 속도 기반으로 계획을 세울 수 있음일정 지연에 대한 부담을 명확한 지표로 설명할 수 있음(“이번 스프린트에 25pt 처리 가능 → 요청하신 40pt는 물리적으로 불가합니다.”)PM 꿀팁: “왜 안 돼요?”보단 “몇 포인트죠?”라고 물어보면, 대화가 훨씬 부드러워집..

카테고리 없음 2025.04.04

통제의 법칙 - 자기 통제는 자존감의 시작이다

통제의 법칙내 삶은 내가 만든다.작은 선택들이하루를 만들고하루는 인생이 된다.일찍 일어난다.SNS를 닫고 책을 편다.운동화를 신고 나간다.이 모든 게 통제다.기분에 휘둘리지 않고환경을 탓하지 않는다.내가 정한 걸내가 지킨다.그 순간,자신에 대한 신뢰가 생긴다.신뢰는 자존감을 만든다.자존감은삶을 바꾸는 힘이 된다.결국,내가 나를 통제할 수 있을 때인생도 통제할 수 있다.작은 통제가큰 변화를 만든다.이것이통제의 법칙이다.

카테고리 없음 2025.04.03

쀼? 그게 무슨 뜻이야? più

한 번쯤 들어봤을지도 모른다.이탈리아 영화나 노래, 혹은 여행 중 누군가 이렇게 말했다."피우?"아니, 내 귀엔 분명히 이렇게 들렸다."쀼?"귀여운 뽀뽀 소리 같기도 하고, 한국식 애교 같기도 한 이 단어.하지만 놀랍게도, 이건 이탈리아어다!  정체는 바로 più이탈리아어 più는 '더', '더 많이', '더욱'이라는 뜻을 가진 비교급 표현이다.발음은 빠르게 말하면 정말로 "쀼"처럼 들린다.예를 들면:"Voglio più gelato!"(볼리오 쀼 젤라또!)→ 아이스크림 더 먹고 싶어!"È più bello dal vivo."(에 쀼 벨로 달 비보!)→ 실제로 보니까 더 멋져!귀엽게 들리지만 뜻은 꽤 유용하다.  쀼는 만능이다흥미롭게도, 한국어에서 "쀼"는 뽀뽀하는 소리다.이탈리아어에서 "più"는 '더..

이탈리아어 2025.04.03

"Addio" – 작별이라는 이탈리아어가 품은 이야기

"Addio"라는 이탈리아어, 혹시 들어보셨나요?처음 들으면 왠지 멜로디가 담긴 인사말 같기도 하고, 사랑의 속삭임처럼 부드럽게 느껴지기도 하죠. 하지만 뜻을 알게 되면, 그 느낌은 훨씬 더 깊고 묵직한 울림으로 다가옵니다."Addio"는 단순한 "안녕"이 아니에요. 이 말은 "영원한 작별", 다시 말해 "Farewell forever"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언젠가 다시 만날 수 있기를 바라는 ‘Arrivederci’와는 다르게, ‘Addio’는 다시는 만나지 못할지도 모르는 이에게 전하는 마지막 인사죠. 신에게 맡긴다는 인사?흥미로운 건 이 단어의 어원이에요."Addio"는 사실 "a Dio", 즉 "하느님께"라는 말에서 유래했어요.즉, 누군가와 작별하며 이렇게 말하는 거죠:“이제 당신을 하느님..

이탈리아어 2025.04.03

MBTI 성격유형 테스트, 다들 하길래 해봤다

사람 성격을 딱 16가지로 나눌 수 있을까 싶지만, 요즘 이걸로 다들 성격 분석 중이다.MBTI는 성격을 네 가지 지표로 나눠서, 내가 어떤 타입인지 알려주는 테스트다.E / I: 사람 만나는 게 재밌냐, 피곤하냐S / N: 현실적인가, 상상 많은가T / F: 감정보다 이성이 앞서는가, 반대인가J / P: 계획이 있어야 편한가, 즉흥이 좋은가그 결과로 나온 4글자로 요즘은 사람을 파악한다.“너 그럴 줄 알았어, T잖아.” 같은 말이 일상.정확하다고는 못 하겠지만, 나름 맞는 구석도 있고, 대충 재미로 보기엔 나쁘지 않다.남들 다 해보니까 나도 한 번쯤 해보는 그런 테스트.기대는 말고 그냥 해보자. 어쩌면 좀 맞을 수도 있으니까.  MBTI 성경 유형 테스트를 해볼수 있는 사이트https://www.sim..

카테고리 없음 2025.04.03
반응형